경제

[수소 경제 현장 점검] 수소 활용 1위, 안전법은 미비

국윤진 기자

jinnyk@tbstv.or.kr

2020-07-14 11:51

41

【 앵커멘트 】
정부의 수소 경제 정책에 맞춰 전국에 수소 관련 시설들이 속속 들어서고 있습니다.

하지만 강릉 수소탱크 폭발 사고 이후 우려가 커지면서 시기상조라는 주장이 나오는데요.

TBS 연속 기획 보도, 수소 산업 안전성을 국윤진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 기자 】
【 스탠딩 】
서울 강남구 일원동에 있는 탄천물재생센터입니다.

서울시는 이 센터 안에 수소충전소 건립을 추진하고 있는데요.

주민들은 설명회는 물론 안전성 검증도 없었다며 반발하고 있습니다.

【 인터뷰 】김형주 / 탄천물재생센터 수소충전소 반대 일원주민회
"수소충전소가 아직 안전하지도 않은 상황에서 우리 주거지 인근에 지어진다는 데 우려가 큰 상황이고요."

지난해 5월 8명의 사상자와 550억 원의 재산피해를 낸 강릉 수소탱크 폭발 사고.

정부는 수소탱크에 기준보다 많은 산소가 유입돼 폭발했기 때문에 수소가 다른 에너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위험하지 않다는 입장입니다.

하지만 피해자들은 수소 관리의 위험성을 우려하고 있습니다.

【 인터뷰 】김대건 위원장 / 강릉 수소탱크폭발재해 피해대책위원회
"(탱크의) 수소가스 내에 산소 농도가 몇 퍼센트 이하, 뭐 예를 들어서 지금 선진국에서는 1.6% 이하라고 규정돼 있는데요. 강력하게 산소 농도를 규제하지 않으면 이런 사고는 또 언제든지 발생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전문가들은 수소 생산과 저장, 운반까지 안정성을 담보할 수 있는 기술도 부족하다고 지적합니다.

【 인터뷰 】이덕환 명예교수 / 서강대학교 화학과
"수소가 폭발하면 이 열이나 폭음보다 쇼크웨이브(충격파)라는 거에 의해서 굉장히 넓은 지역에 피해가 발생합니다. (하지만) 모든 과정에서의 안전 기술이 턱없이 부족한 상황입니다."

지난 2월 수소 안전 기준과 관리 규칙 강화를 담은 수소법이 국회를 통과했습니다.

하지만 안전 관련 세부 내용은 없는 데다 빨라도 2년 뒤에나 현장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 인터뷰 】이연재 안전관리이사 / 한국가스안전공사
"바로 시행할 수 있는 게 아니고 그 제품을 만드는 기업이 그 기준에 맞춰서 제조하는 설비도 만들어야 하고 테스트해서 개발도 해야 하고 하는 과정이 있기 때문에…."

정부는 2040년까지 연간 43조 원의 수소 부가가치를 창출할 계획이라고 밝혔지만, 안전사고에 대한 우려는 계속되고 있습니다.

TBS 국윤진입니다.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제공 tbs3@naver.com copyrightⓒ tbs.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41 카카오톡 페이스북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