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조주연
rosie72jy@gmail.com
2020-05-15 08:54
이태원 클럽발 코로나19 집단감염을 계기로 확진자의 동선과 접촉자 파악을 위해 QR코드, 앱 등을 활용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지만, 도입 전 '사회적 합의'가 먼저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입니다.한림대 감염내과 이재갑 교수는 오늘(15일) TBS '김어준의 뉴스공장'에 출연해 "기술적으로는 언제든 구현 가능하지만 방역당국이 실효성과 국민들을 설득할 방법에 대해 고민해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습니다.이 교수는 "우리나라에서도 이미 내원객, 면회객 관리를 위해 종합병원은 QR코드, 앱을 사용하고 있다"며 다른 영역에 적용하는 것도 기술적으로는 언제든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 교수는 다만 "사람들이 모두 앱을 설치하게 하려면 법적인 제한도 있게 되고,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문제도 있다"며 도입 전 사회적 합의가 선행돼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현재 세계 곳곳에서는 전파력이 강한 코로나19 대응을 위해 사람들의 동선을 추적하고, 확진자를 파악하기 위한 기술을 개발·활용 중입니다. 싱가포르는 이미 디지털 체크인 시스템을 통해 사람들이 방문한 장소를 파악하고, 앞으로는 택시를 타고 내릴 때도 승객들에게 QR코드를 스캔하도록 하겠다고 밝혔으며, 애플과 구글은 블루투스를 기반으로 한 코로나19 '확진자 추적 앱' 공동 개발에 나섰습니다. 영국에서는 사람들의 동선을 저장하고, 확진자 발생 시 동선이 겹치는 모든 접촉자에게 경고 알람이 가는 앱을 통해 무증상 감염기의 전파력을 분석하는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제공 tbs3@naver.com copyrightⓒ tbs.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헌재 만장일치로 윤석열 파면…조기 대선 시작
헌재, 윤석열 대통령 파면…재판관 8명 전원 만장일치
탄핵 가결 시민 "환호", 헌재 "신속 공정 재판"
대통령 탄핵안 가결, 희비 엇갈린 여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