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2025년 풍수해 안전대책 추진현황 보고회 <사진=서울시>
서울시가 오는 15일부터 10월까지 `풍수해 재난안전대책본부`를 24시간 운영하며, 여름을 앞두고 집중호우를 비롯한 위험 기상에 선제적으로 대응합니다.
우선 반지하 주택이나 지하차도, 하천 산책로 등 풍수해 재해 우려 지역을 집중 관리합니다.
특히 올해는 반지하 주택이 밀집한 관악·동작·영등포구 등 15개 골목길에 전국 최초로 `반지하 침수경보시설`을 시범 도입합니다.
수위 관측장비가 달린 레이더 센서가 실시간 수위를 감지해 경보하는 시스템이다.
시는 또 집중호우가 내릴 때 빗물이 시내 하천으로 몰려 급격하게 수위가 상승하는 현상을 억제하고자 공원 연못·호수에 빗물을 담는 `빗물그릇(자연형 저류지)` 기능을 도입해 침수 예방효과를 높입니다.
현재 빗물그릇으로 운영 중인 서울대공원(청계저수지) 등 7곳에 올해 5곳을 추가해 총 12곳을 운영합니다.
이를 통해 빗물 최대 75만 7,000t을 저장할 수 있을 것으로 추산했습니다.
서울시는 기존에 여가와 생태 공간으로만 활용되던 공원 연못과 호수에 수해 예방 기능을 더하는 빗물그릇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오세훈 시장은 오늘(12일) 오전 시청에서 열린 `2025년 풍수해 안전대책 추진현황 보고회`에서 이같은 내용을 담은 풍수해 대비 상황을 종합 점검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