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한 공공산후조리원<사진=연합뉴스>] 인구 감소 추세가 계속된다면 100년 후 대한민국 인구가 현재의 15% 수준으로 줄어들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습니다.
또 경제활동인구 감소와 노인 인구 증가로 2100년엔 생산연령인구 100명이 노인 140명을 부양할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인구 전문 민간 싱크탱크인 한반도미래인구연구원은 오늘(2일) 출간한 `2025 인구보고서: 대한민국 인구 대전환이 온다`에서 2025년부터 2125년까지 100년간의 장기 인구 변화를 코호트 요인법으로 추정했습니다.
코호트 요인법은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인구 추계 방식 중 하나입니다.
보고서를 보면 2125년 우리나라 인구는 가장 극단적인 저위 시나리오에서 현재(5천168만명)의 14.6% 수준인 753만 명까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됐습니다.
중위 천115만 명, 가장 낙관적인 고위 시나리오에서도 현재의 3분의 1 이하인 천573만 명에 그칩니다.
고령화도 심화해 2100년에는 생산연령(15∼64세) 인구 100명이 65세 이상 노인 140명(저위 시나리오 기준)을 부양할 것으로 예상됐습니다.
보고서는 젊은 세대에게 결혼과 출산은 개인의 자유로운 선택이 아니라 경제적 조건에 좌우되는 현실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이를 해결할 핵심 정책 방향으로는 출산·양육 부담 경감을 위한 획기적 지원 확대, 일·가정 양립 문화의 실질적 정착, 정년 연장과 계속 고용제도 확산, 이민정책 개편 등이 제시됐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