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병특검, 박정훈 대령 2심 항소 취하 <사진=연합뉴스>
해병대 채상병 사건 수사방해 의혹을 수사하는 이명현 순직해병특검팀이 수사외압 의혹의 단초가 된 `VIP 격노설` 수사를 위해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 자택과 국방부, 국가안보실 등에 대한 전방위 압수수색에 나섰습니다. 순직해병특검 출범 이후 이뤄진 첫 강제수사입니다.
법조계에 따르면 특검팀은 오늘(10일) 이 전 장관의 자택을 비롯해 국방부 대변인실과 주요 부서, 국가안보실 등을 대상으로 압수수색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특검팀은 이번 압수수색을 통해 VIP 격노설이 제기된 2023년 7월 31일 전후로 해병대 수사단의 초동조사 결과에 대한 대통령실 지시 내용과 경로, 이후 군 수뇌부의 움직임 등 관련 내용을 망라해 자료를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당시 대통령실 회의를 주관한 국가안보실에서는 참석자와 회의록 확보를 시도하고, 국방부 내 채상병 사건 관련 언론 대응 방안에 대한 자료를 압수할 방침입니다.
압수수색 대상엔 이 전 장관을 비롯해 임기훈 전 국방비서관, 전하규 국방부 대변인 등이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특검팀은 안보실의 경우 영장을 제시하고 임의제출 형식으로 회의록 일부 등 관련 자료를 넘겨받을 계획입니다.
VIP 격노설은 윤 전 대통령이 2023년 7월 31일 오전 11시 대통령실 회의에서 해병대 수사단의 초동조사 결과를 보고받은 뒤 "이런 일로 사단장을 처벌하면 누가 사단장을 할 수 있겠냐"며 `격노`했고, 경찰 이첩을 보류시키고 해병대 수사단의 조사 결과를 바꾸게 했다는 의혹입니다.
이종섭 당시 국방부 장관은 당일 오전 11시 54분쯤 대통령실 명의인 `02-800-7070` 번호로 걸려 온 전화를 받고, 전화를 끊자마자 바로 김계환 당시 해병대사령관에게 경찰 이첩 보류 및 국회·언론 브리핑 취소를 지시했습니다.
임기훈 전 대통령실 국방비서관은 당시 김계환 전 해병대사령관에게 당시 회의에 있던 VIP 격노설을 전달한 인물로 지목돼 왔습니다.
특검팀은 내일(11일)은 VIP 격노설이 불거진 당시 대통령실 회의에 참석한 김태효 전 안보실 1차장을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합니다.
국방부 대변인실 등 압수수색 나선 해병특검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