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평택항 수출용 자동차 <자료사진=연합뉴스>
지난달(6월) 전산업 생산이 자동차·반도체 등의 호조로 석 달 만에 상승 전환했습니다.
소비도 의복·화장품에서 판매가 늘어 넉 달 만에 증가했습니다.
그러나 설비투자는 미국 관세 부과 불확실성에 넉 달째 뒷걸음쳤습니다. 설비투자가 넉 달째 감소한 것은 2018년 2∼6월 이후 7년 만에 처음입니다.
통계청이 오늘(31일) 발표한 `6월 산업활동동향`을 보면 전(全)산업 생산지수(계절조정·농림어업 제외)는 113.8(2020년=100)로 전달보다 1.2% 상승했습니다.
전산업 생산은 지난 4월 -0.7%, 5월 -1.1%로 두 달 연속 감소하다가 지난달 플러스로 전환했습니다.
반도체(6.6%)·자동차(4.2%)·금속가공(4.7%) 등 제조업에서 전월보다 생산 증가 폭이 컸기 때문입니다.
서비스 소비를 보여주는 서비스업 생산은 금융·보험, 전문·과학·기술 등에서 늘면서 0.5% 증가했습니다.
건설업 생산을 반영하는 건설기성(불변)은 전월대비 6.7% 증가를 나타내며 넉 달 만에 플러스로 전환했습니다.
토목(-2.8%)에서 실적이 줄었지만 건축(10.3%)에서 늘어난 결과입니다.
최창윤 통계청 서비스업동향 과장은 "어느 정도 부진이 완화되고 있다는 신호로도 볼 수 있지만, 건설기성이 전년 동월대비로는 14개월째 감소하는 수준이라서 건설경기가 살아났다고 판단하기에는 아직 이른 수준"이라고 분석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