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서울 전기는 어디서 올까? [인싸_이드]

곽자연 기자

bodokwak@tbs.seoul.kr

2023-10-11 18:00

66


대한민국의 수도, 인구 약 1,000만 명의 메가 도시 서울.

이곳에서 시민들은 많은 것을 누리며 살아갑니다.

우리는 과연 이 거대한 도시에서 얼마나 많은 전기를 사용할까요?

【 인터뷰 】유정민 박사/ 서울연구원
"서울에서 사용하는 전력(4만 7,384GWh)이 전국 전력 사용량의 한 9% 정도에 달하는 양입니다. 서울이라는 자그마한 지역에 전국 전력 소비량의 한 9% 정도가 몰려 있다는 측면에서는 상당히 많은 전력을 소비하고 있다…"

경기도와 인천의 전기 사용량까지 합치면 수도권에서만 우리나라 전력 사용량의 25% 정도가 사용됩니다.

2021년 지역별 전력소비량 <CG=TBS>


하지만, 서울시 전력 자립률은 9% 수준에 불과한 상황.

나머지 91%의 전기는 서울이 아닌 다른 지역에서 생산됩니다.


2022 지역별 전력자립률 <CG=TBS>


【 인터뷰 】이민호 팀장/ 서울환경연합 기후에너지팀

"가까운 곳들을 생각하면 인천에 석탄 화력 발전소가 있고요. 충남에 우리나라 대부분의 석탄 화력 발전소가 모여있는 상황이기도 합니다. 또 동해안이라고 하는 강릉이나 삼척에 새로운 석탄 화력 발전소가 생겨나고 있고. 그래서 지역별로 (전기를 생산)해서 수도권으로 모이고 있다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아요."

전국 곳곳에서 생산된 전기는 송전망 배전망을 통해 흐릅니다.

그리고 소비자들은 플러그만 꽂으면 쉽게 전기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신정훈 의원실에 따르면 수도권으로 전기를 보내는데 드는 계통 투자에 10년 동안 무려 2조 3,000억 원이 들었고,

수도권으로 전기가 보내지는 과정에서 피해는 고스란히 다른 지역의 몫이 되었습니다.

【 인터뷰 】이민호 팀장/ 서울환경연합 기후에너지팀
"석탄 화력 발전소가 들어가는 지역의 반대도 분명히 존재할 것이고 그 전기를 서울로, 또는 수도권으로 운반하기 위해서 들어가는 송전탑을 설치할 때 지역 주민 간의 갈등도 생겨나고 이웃 갈등으로 인해서 공동체가 파괴되는 상황이 많이 생겨나고 있죠."

대표적인 에너지 갈등의 사례는 '밀양 송전탑 갈등 사건'

신고리 원전에서 생산된 전기를 수도권으로 보내는 '제5차 장기 전력 수급 계획'에 따라 76만 5,000볼트 규모의 초고압 송전선과 송전탑 건설 계획이 수립됐지만,

제5차 장기 전력 수급 계획 <CG=TBS>

부지 선정 과정에서 밀양 시민과 한국전력공사 사이에 분쟁이 벌어졌고 주민 2명이 사망했습니다.

되풀이되지 말아야 할 에너지 갈등은 현재 진행 중인데, 앞으로 전력 수요는 더 늘어날 전망입니다.

【 인터뷰 】윤순진 교수/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우리가 좀 더 편리하게 삶을 살기 위해서 다양한 가전제품이라든지 전자기기를 사용하죠. 근데 그것만이 아니라 기업의 또 공장의 공정들도 전력화의 방향으로 가고요. 지금은 전기로 하지 않았던 활동들을 전기로 제공받아서 하게 된다는 거죠."

에너지 자립률을 끌어올리지 않는다면 앞으로도 에너지 갈등은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에너지 전문가 다수는 서울시의 전력 자립률을 높이는 방안으로 지역에 기반을 둔 재생 에너지 확대를 꼽습니다.

냉방과 난방, 수송, 기업 공정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재생 에너지를 통한 전력화가 이뤄져야 합니다.

하지만 서울의 재생 에너지 전력 자립률은 1% 미만에 불과해 이를 통한 전력 수급 또한 타지역에 의존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2020년 재생에너지 전력자립률 <CG=TBS>

【 인터뷰 】이민호 팀장/ 서울환경연합 기후에너지팀
"우리가 (지역에) 태양광이나 재생 에너지를 만들면서 더 많은 송전탑들이 필요하게 되어있는 상황입니다. 그러다 보니까 태양광 발전소나 풍력 발전소를 지어는 놨지만, 그런 송전탑이 연결되지 못해서 전기를 서울로 못 보내고 있는 상황도 발생하고 있고요. 송전탑이 건설되면서 생기는 지역 간의 갈등도 여전히 늘어나는 추세라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전력 생산과 소비 지역 간 불균형 심화로 지난 6월 '분산 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이 국회를 통과했습니다.

현재 전기 요금은 발전소와의 거리와 상관없이 동일하게 책정됩니다.

하지만, 내년(2024년)부터 송배전 비용에 따라 지역별로 차등 적용될 수 있습니다.

서울 등 수도권의 경우 전기 요금이 오를 수 있어 자체 재생 에너지 확대가 시급합니다.

하지만, 사실상 100% 전력 자립은 어려운 상황.

전문가들은 에너지 효율 개선을 통해 전력 수요 자체를 줄이는 것이 전력 자립만큼이나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

【 인터뷰 】윤순진 교수/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우리가 원하는 건 에너지 자체가 아닙니다. 에너지가 우리에게 해주는 일 에너지 서비스예요. 에너지 자체를 많이 확보하려고 하는 노력 물론 그게 일정량까지는 필요해요. 하지만 그게 아니라 우리가 정말 원하는 게 에너지 서비스라면 동일한 서비스를 어떻게 투입하는 에너지를 줄이면서 동일하게 누릴 건가 이걸 고민하면 되거든요."

인구 1,000만 서울의 에너지 자립.

재생 에너지 확대와 에너지 효율 개선 두 마리 토끼를 잡아야 가능합니다.

#에너지갈등 #서울전기 #전기요금 #송전탑 #밀양 #에너지자립 #정의로운전환 #태양광발전 #풍력발전 #재생에너지 #기후위기 #곽자연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제공 tbs3@naver.com copyrightⓒ tbs.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66 카카오톡 페이스북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