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
이민정 기자
lmj@tbs.seoul.kr
2023-11-15 17:09
전국이 '빈대포비아(공포증)'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지난달(10월) 30일부터 일주일간 국민권익위원회에 접수된 빈대 관련 민원은 104건으로 전주보다 3배 가까이 급증했을 정도입니다. 대부분 지하철 같은 다중이용시설에서 빈대가 옮겨붙을까 걱정된다, 선제적으로 방역을 해달라는 민원들이었습니다.
실제 빈대는 얼마나 확산되고 있을까? 정부가 매주 화요일마다 발표하는 빈대 현황을 보면, 지난주(11.6~12) 전국에서 접수된 신고 건수는 155건, 이중 빈대가 확인된 건 41건입니다. (*민간 방역 업체에서 직접 신고한 15건을 포함하면 56건) 전주까지 누적된 신고·발생 건수까지 합하면, 지금까지 정부에 신고된 187건 중 빈대가 발견된 건 54건으로, 의심 신고 가운데 70% 가량은 오인 신고였습니다.서울에서는 지난 12일까지 89건이 신고됐는데 이중 실제 빈대가 나온 건 39건. 나머지 50건 절반 이상에서는 빈대가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이렇게 오인 신고가 더 많다고 해도 안심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우선 증가세가 걱정입니다. 발표일 기준으로 일주일 만에 전체 빈대 발생이 13건→41건, 서울의 경우 11건→28건으로 2~3배 뛰었습니다. 서울, 경기, 대구, 충남, 인천, 대전 등 빈대가 발견된 지역이 확대되고 있다는 점도 우려스럽습니다. 또 현재 빈대가 발견돼도 신고 의무가 강제 사항은 아니기 때문에 빈대 발견 건수나 장소, 지역은 이보다 더 많을 것이라는 겁니다. 실제 민간 방역 업체들은 정부 집계와 현장 상황에 차이가 있다고 말하고 있습니다.많은 시민들이 우려하는 지하철이나 KTX에서의 빈대는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대부분 가정집이나 고시원에서 빈대가 발견됐습니다.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제공 tbs3@naver.com copyrightⓒ tbs.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탄핵 가결 시민 "환호", 헌재 "신속 공정 재판"
대통령 탄핵안 가결, 희비 엇갈린 여야
윤석열 대통령 탄핵안 표결 무산, 여당 불참
45년 만에 '비상계엄' 선포…국회도, 금융시장도 혼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