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혜련 기자
hchung02@tbs.seoul.kr
2022-05-27 11:32
[원숭이두창] 전 세계 20여 개국, 200여 건 발생 (26일 기준)【 인서트 】지미 위드워스 / 런던 위생·열대 의과대학 교수"상당히 이례적인 발병이라고 생각합니다. 아프리카 외 지역에서 원숭이두창이 지역 사회에 퍼지는 것을 본 적이 없습니다." [소아 급성 간염]전 세계 34 개국, 600건 이상 발생 (20일 기준)【 인서트 】엔리크 페레즈 / 범미보건기구(PAHO) 관계자"(소아 급성 간염) 관련 사례들을 잘 파악하기 위한 더 많은 조사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희귀 감염병 확산에 전 세계 긴장 아프리카의 풍토병인 원숭이두창이 최근 유럽을 비롯한 세계 곳곳에서 확인되고 있습니다.원숭이두창은 어떤 질병이고 전파력은 어느 정도일까요?【 인서트 】지미 위드워스 / 런던 위생·열대 의과대학 교수"원숭이두창은 바이러스성 질환입니다. 서아프리카와 중앙아프리카에서는 이미 풍토병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보통 작은 설치류 등을 통해 퍼지고, 인간은 감염된 동물과 접촉 시 감염됩니다. 사람 간 전파가 이뤄지는 경우도 가끔 있고요." 감염자와 피부 간 접촉 등을 통해 걸릴 수 있지만, 코로나19처럼 쉽게 퍼지지는 않을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는데요.코로나19와 달리 공기 전파를 통한 감염의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감염되면 발열과 오한, 두통, 근육통, 붓는 증상과 함께 얼굴을 비롯한 손발 등 전신에 수두와 비슷한 수포성 발진이 퍼지는 것이 특징인데요.대부분 경증으로 지나가지만 드물게 중증을 유발할 수도 있습니다.【 인서트 】지미 위드워스 / 런던 위생·열대 의과대학 교수"감염 시 심각한 질병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1~2주 안에 회복하지만, 입원을 해야 하는 등 심각해질 수도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원숭이두창의 아프리카 이외 지역에서의 확산이 이례적인 만큼 확산 동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는데요.【 인서트 】로자문드 루이스 / 세계보건기구 천연두 사무국장"현재 나타나는 감염 발생은 새로운 양상을 보입니다. 지금까지 발생하지 않았던 인구 집단에서 퍼지기 시작한 겁니다. 이 부분이 우려되는 상황인 거죠."추가 확진자가 나올 것으로 예상되지만, 또 다른 대유행으로 번질 가능성은 전반적으로 낮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의견입니다.【 인서트 】지미 위드워스 / 런던 위생·열대 의과대학 교수"(원숭이두창은) 일반적으로 전염성이 높지 않습니다. 때문에 많은 사례들은 보통 자체적으로 빠르게 소멸하는 경향을 보이죠." 【 인서트 】로자문드 루이스 / 세계보건기구 천연두 사무국장"원숭이두창 감염 의심, 확진 환자와 밀접 접촉을 한다면 감염의 위험은 분명 더 높아지겠죠. 하지만 일반적으로 감염 위험이 낮고 너무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추가 확산을 막기 위해 신속한 확진자와 밀접 접촉자 파악 및 격리, 백신을 통한 대응이 강조되는 가운데 현재 천연두 백신이 원숭이두창에 예방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인서트 】지미 위드워스 / 런던 위생·열대 의과대학 교수"(천연두 백신으로) 85%가량 예방 효과를 가질 수 있습니다. 밀접 접촉자나 감염 의심 환자에 먼저 백신 접종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유용한 부분이죠." 현재 우리 정부는 3,500만 명분의 천연두 백신을 비축하고 있습니다.*코로나19 대유행이 끝나지 않은 가운데 전 세계적으로 600건 이상의 감염 사례가 보고되며 확산 중인 또 다른 감염병이 있습니다.지난 10일 국내 첫 의심환자가 발생하기도 했는데요.원인불명의 어린이 급성 간염입니다. 각국에서 원인 규명을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 중이지만, 아직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고 있습니다. 【 인서트 】엔리크 페레즈 / 범미보건기구(PAHO) 관계자"해당 급성 간염은 A·B·C·D형으로 분류되는 기존의 바이러스 간염은 아닌 것으로 연구 결과 나타났습니다. 사례 파악을 위한 더 많은 연구를 진행 중입니다."가장 유력한 가설은 아데노바이러스와 연관성이 있다는 것으로 유럽과 미국 등에선 원인 병원체로 아데노바이러스 41F형을 지목하고 있는데요. 가장 많은 확진자가 나온 영국과 미국 내 어린이 환자 약 70%의 검체에서 해당 바이러스에 대한 양성 반응이 나타났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모든 의심 사례에서 아데노바이러스가 검출된 게 아닌 데다, 발생 초기여서 과학자들은 정확한 원인 파악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다만, 코로나19 백신과의 연관성은 배제됐는데요.미 CDC 감염병 부국장 제이 버틀러 박사는 일각에서 제기된 코로나19 백신과 관련이 있다는 주장은 근거가 없다며, 확진된 어린이 환자의 대부분은 코로나19 백신 미접종자임을 분명히 밝혔습니다.#백신 #코로나19 #팬데믹 #세계보건기구 #WHO #어린이급성간염 #TBS #국제뉴스 #ON세계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제공 tbs3@naver.com copyrightⓒ tbs.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인싸_이드] 전기 요금 인상, 아무도 말하지 않은 '진실'
[월뉴공] 올여름 한국 날씨, 해외 기상학자의 예측은?
프랑스, 누워있기 우주 체험 실험 진행 [조이투더월드]
폭우에 잠긴 반지하…지상 이전 어디까지 왔나